[프레젠테이션] 실전 같은 리허설
프레젠테이션의 실전 같은 리허설
그리고 이번 발표 때 잘했다고, 다음 발표 때 잘 할 거라는 보장이 없는 생방송 무대와 같다.
그렇다면 ‘생방송 같은 프레젠테이션’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걸까?
방법은 단 하나뿐이다. 예측 가능한 모든 변수에 철저히 대비한 ‘실전 같은 리허설’이다.
■ [프레젠테이션] 실전 같은 리허설을 하라!
리허설은 당일 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실수 등을 사전에 찾아내어 미리 해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습과 리허설이 다르다는 점을 잊지 말자.)
최종 리허설을 할 때는 현장에서 하는 것처럼 동일하게 진행해야 효과적이다.
# [프레젠테이션 리허설] 리허설이라고 다 같은 리허설이 아니다?!
프레젠테이션 리허설을 할 때는 단계별로 리허설을 나눠서 진행하는 게 효과적이다.
① 1단계: 원고 리허설
목적: 프레젠테이션 내용(스크립트)과 발표자의 발표 속도를 점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원고 중심의 리허설을 통해 발표자는 발표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게 된다.
– 원고를 실제로 소리 내어 읽는다.
– 듣기에 불편한 단어, 어색한 문장, 애매모호한 표현, 호흡 조절이 어려운 문장 등 이런 부분을 체크한다.
– 반복적으로 나오는 습관적인 간투사를(음, 그, 어, 저) 확인하고 없앤다.
– 정해진 시간 안에 마무리 되도록 프레젠테이션의 속도 조절을 한다.
② 2단계: 시각 자료 리허설
목적: 슬라이드 자료를 사용하면서 발표자의 표정, 제스처, 이동 경로, 속도를 점검한다.
발표자의 자신감 있는 표정과 제스처, 목소리는 완벽한 연습과 리허설에서 나온다.
– 슬라이드 자료를 작동하면서 리허설을 시작한다
– 원고를 보지 않고, 실제처럼 청중 쪽을 보며 진행한다.
– 슬라이드 속도와 발표 속도를 조절한다.
– 발표자의 표정, 시선처리, 목소리(발음), 자세 등이 자연스러운지 체크한다.
– 발표자의 메시지가 명확하게 전달되는지 확인한다. (임팩트 있는 부분이 잘 표현 되었는지 체크)
– 슬라이드 자료의 화면 표현 상태, 글씨 크기, 표기법 등을 확인한다.
– 비디오 카메라로 리허설을 녹화해서 최종 점검한다.
③ 3단계: 최종 현장 리허설
목적: 최종 현장 리허설은 주변 환경의 방해요소를 사전에 발견해 제거하는데 목적이 있다.
당일 입을 복장까지 그대로 갖추고 ‘실전 같은 리허설’을 하라!
‘실전 같은 리허설’은 당일 날 ‘자신감 넘치는 프레젠테이션’으로 당신에게 답할 것이다.
[장소]
장소의 크기, 청중의 위치, 좌석 배치, 이동할 동선을 체크한다.
[기자재]
마이크의 이동성, 오디오 음량 체크, 스크린 장비 작동 유무, PC 버전 확인,
냉난방 조정법, 전등 스위치 위치, 조명 등 기자재 부분을 꼼꼼히 확인한다.
[발표]
슬라이드, 발표자 복장, 메시지 전달, 목소리, 속도, 표정, 제스처, 시선처리,
움직임 등을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Jeannette1236 0
https://honda-fit.ru/forums/index.php?autocom=gallery&req=si&img=7032
Mike79 0
Awesome https://shorturl.at/2breu
Christopher1126 0
Awesome https://shorturl.at/2breu
Willow117 0
Good https://lc.cx/xjXBQT
Carl3999 0
Good https://t.ly/tnd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