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젠테이션 Tip

[프레젠테이션의 열쇠] 설득의 스토리텔링

2016.06.232029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프레젠테이션 자리에서
과연 청중은 이성적으로 판단을 할까? 아니면 감성에 영향을 받아 결정을 할까?”

대부분 이성적으로 판단해 결론을 내린다고 생각하겠지만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프레젠테이션을 들은 청중의 무려 85%‘감성’에 영향을 받아 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왔다.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이 ‘청중의 설득’이라면, 감성적인 프레젠테이션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청중의 마음을 움직이는 감성 열쇠, 스토리텔링의 요소가 필요한 이유이다.
 

■ 청중을 움직이는 감성 열쇠 –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이란?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은 글자 그대로 ‘이야기(Story)+말하기(Telling)’의 합성어로서,
청중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문학용어에서 비롯된 스토리텔링은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마케팅의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이야기하다’라는 전달의 의미가 아닌
스토리를 창작하고, 구성하고, 전달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포함 한다.
스토리 구조의 힘을 활용해 청중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법을 말한다.

■ 설득의 스토리텔링, 스토리의 힘

본격적으로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스토리의 힘이 얼마나 중요한지 짧게 이야기하고 지나가고자 한다.

자전거 천국 ‘중국’에 있는 한 가게 주인에게 고민이 있었다.
가게 앞에 불법으로 주차 된 수많은 사람들의 ‘불법 주차 자전거’ 때문이다.

영업을 방해가 될 정도로 심각한 상태였기에 ‘자전거 주차 금지’ 문구를
점점 강도를 높여가며 수도 없이 바꿔 붙여 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하지만 곧 문제가 말끔 하게 해결 됐다.

[자전거 주차 금지] 이 문구에 스토리텔링을 거친다면 어떤 힘이 생길 수 있을까?
자전거를 불법으로 주차하는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문구가 있을까?

“ 자전거를 공짜로 드립니다. 아무나 가져 가세요.”

 
17784959_lel

■ 프레젠테이션,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프레젠테이션 한다는 것은 ‘이야기’하는 것이고, ‘스토리’는 프레젠테이션의 핵심이다.
스토리의 핵심 주제는 청중들이 원하는 목표와 같아야 설득력을 갖추게 된다.
 
● 스토리텔링의 4가지 구성 요소
 
① 메시지(테마)
② 갈등
③ 등장인물
④ 플롯(구성)

 

❶ 메시지 (테마)
: 스토리에는 하나의 메시지만 담겨 있어야 한다. 스토리를 통해 청중들이 도착할 목적지는
한 곳이어야 한다. 만약 더 많은 메시지를 담으려면 메시지에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하지만 하나의 메시지에 비해 더 명확할 수는 없다.
(예: 동화  ‘양치는 소년’  메시지 – 거짓말을 계속 하면, 나중에 진실을 말해도 사람들이 믿어 주지 않는다.)
 
❷ 갈등
: ‘갈등 없이는 스토리도 없다.’ 갈등은 좋은 스토리를 이끌어 내는 원동력이자,
목표 성취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이다.
사람은 갈등과 마주하면 본능적으로 해결책을 찾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❸ 등장인물
: 성공적인 갈등을 제대로 표현하려면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하는 등장인물이 필요하다.
등장인물은 사람만을 뜻하지 않는다. 무언가에 대한 소망을 담거나, 행동할 줄 알고,
그 결과에 책임 질 수 있는 그 어떤 것이라면 다 등장인물이 될 수 있다.
 
❹ 플롯(구성, 흐름)
: 플롯이란 이야기를 구성하는 줄거리 또는 여러 사건을 하나로 연결하는 작업과 수단을 말한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동화의 진행방식처럼
이야기의 흐름을 잘 잡아줄 수 있는 구성들이 필요하다.
 
스토리텔링의 4가지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프레젠테이션을 기획해보자,
사람의 지식과 기억의 구조가 ‘스토리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설득력 있는 프레젠테이션에 한 발짝 더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으로 미국 오바마 대통령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참고하자.

1. 상대가 듣고 싶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먼저 생각하라.
2. 나도 당신과 생각이 같다는 확신을 주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라.
3. 상대의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의 감성에 호소하라.
4. 간결한 주장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근거를 대라.
5. 부정적 메시지도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절망 앞에서도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는 기술을 연마하라.